식 관련
인수분해가 더 되는 경우 상수 미표기 k는상수 없으면 k자리에 식 대입 가능 반대로 상수가 아닌데 상수라 기재한경우 ---개수--- 중복된 경우 .. 순서쌍 ---언어적표현--- 이내 영역 내 : 경계를 포함하는지 여부 ---답--- 답이 여러가지가 가능한 경우 ...답을 a+bi라 할때 a+b의 값은? 이라 해놓고 a,b 실수 조건 없는 경우 문제 풀기전에도 알수 있는 오답이 선지로 들어간 경우 ...a,b가 2이상의 자연수가 될 수밖에 없는데 선지에 1이 있는경우 ---그래프--- 그리드밖 그래프가 어떻게 그려지느냐에 따라 답이 달라지는 경우 그래프가 해당 점을 실제로 지나지 않는 경우 두 그래프가 실제로 만나는(만나지않는) 경우 발문영역이 모호한 경우 문제대로 그래프 그린 것이 문제에 제시된 그래프와 다른 경우 점선은 축에 평행함 미표기(직각 미표기) ---도형--- 도형이 실재하지 않는 경우 - 모서리 길이 합, 부피가 주어진 직육면체 넓이나 부피가 음수가 나오는 경우? ---보기--- 보기끼리 글자크기 다른 경우 1~5번 중 특정 선지가 너무 없거나 너무 많은 경우 순서정렬 안된 경우 " rows = 12 style = "display : none"> ---식 관련 --- # 인수분해가 더 되는 경우 : 인수분해한 것을 고르는 문제에서 정답에 해당하는 식이 사실 한번 더 인수분해 가능한 경우. 예를 들어 정답이 아래 식이라 하자. 아래 식의 두번째 인수는 사실 한 번 더 인수분해 가능하다. # 상수 미표기 : 상수 a,b의 값을 구하라는 문제에서 a,b의 상수 조건을 빼 먹으면 답이 여러 가지가 되는 경우가 많다. a,b자리에 상수 뿐 아니라 변수를 포함한 식이 들어가도 정답이 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아래 문제에서 a,b의 상수 조건이 없다면 a = 2, b = -x-10도 답이 된다. (출처 : 비상교과서_미적분_92쪽) # 실수 미표기 : 미지수의 실수 조건을 빼 먹는 경우 답이 여러가지가 되어버리는 경우이다. '서로 같은 두 복소수(두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해 a, b와 같은 미지수의 값을 구하는 문제에서는 복소수의 실수부분, 허수부분이 반드시 실수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실수 조건을 누락하면 '서로 같은 두 복소수(두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을 이용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아래 문제에서 a,b의 실수 조건이 없으면 답이 다양해진다. ---개수--- # 중복을 제외하지 않은 경우 : 개수를 구하라는 문제는 아주 조심해야 한다. 정답이 되는 것들끼리 중복되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고 빼먹은 게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아래 문제의 경우 답을 순서쌍 (a,b,c) 꼴로 표현하면 (3,1,2), (2,1,3) 모두 정답이 되지만 식의 두 인수의 자리가 바뀌어도 관계 없으므로(a,c를 구분할 필요 없음) (3,1,2), (2,1,3)는 사실 같은 답이다. 따라서 2개로 세면 안되고 1개로 세어야 한다. (출처 : 차펭귄) # 빠트린 경우 : 반대로 빠트린 것은 없는지도 꼼꼼히 보아야 한다. 예시 준비중. ---언어적표현--- # 이내 : 언어적으로 의미가 모호한 경우를 조심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내'는 국어적으로 '미만'을 뜻하는지 '이하'를 뜻하는지 모호한 단어이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수학 문제에 쓰일 경우 '이내'를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문제의 정답이 달라질 수도 있다. (출처 : 차펭귄) # 영역 내 :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영역 내'의 범위에 경계값이 포함되는지를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정답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 문제의 경우 이차함수 그래프와 x축 사이 영역의 격자점 개수라 하면 경계에 있는 점도 세어야 하는지 모호하다. 아래는 9월 모의고사 기출문제인데 평가원에서 헷갈리지 않도록 명확히 제시했던 문제이다. (출처 : 2014년 9월 학력평가기출) ---답--- 답이 여러가지가 가능한 경우 ...답을 a+bi라 할때 a+b의 값은? 이라 해놓고 a,b 실수 조건 없는 경우 문제 풀기전에도 알수 있는 오답이 선지로 들어간 경우 ...a,b가 2이상의 자연수가 될 수밖에 없는데 선지에 1이 있는경우 ---그래프--- 그리드밖 그래프가 어떻게 그려지느냐에 따라 답이 달라지는 경우 그래프가 해당 점을 실제로 지나지 않는 경우 두 그래프가 실제로 만나는(만나지않는) 경우 발문영역이 모호한 경우 문제대로 그래프 그린 것이 문제에 제시된 그래프와 다른 경우 점선은 축에 평행함 미표기(직각 미표기) ---도형--- 도형이 실재하지 않는 경우 - 모서리 길이 합, 부피가 주어진 직육면체 넓이나 부피가 음수가 나오는 경우? ---보기--- 보기끼리 글자크기 다른 경우 1~5번 중 특정 선지가 너무 없거나 너무 많은 경우 순서정렬 안된 경우 " rows = 12 style = "display : none">
식 관련
인수분해가 더 되는 경우 상수 미표기 k는상수 없으면 k자리에 식 대입 가능 반대로 상수가 아닌데 상수라 기재한경우 ---개수--- 중복된 경우 .. 순서쌍 ---언어적표현--- 이내 영역 내 : 경계를 포함하는지 여부 ---답--- 답이 여러가지가 가능한 경우 ...답을 a+bi라 할때 a+b의 값은? 이라 해놓고 a,b 실수 조건 없는 경우 문제 풀기전에도 알수 있는 오답이 선지로 들어간 경우 ...a,b가 2이상의 자연수가 될 수밖에 없는데 선지에 1이 있는경우 ---그래프--- 그리드밖 그래프가 어떻게 그려지느냐에 따라 답이 달라지는 경우 그래프가 해당 점을 실제로 지나지 않는 경우 두 그래프가 실제로 만나는(만나지않는) 경우 발문영역이 모호한 경우 문제대로 그래프 그린 것이 문제에 제시된 그래프와 다른 경우 점선은 축에 평행함 미표기(직각 미표기) ---도형--- 도형이 실재하지 않는 경우 - 모서리 길이 합, 부피가 주어진 직육면체 넓이나 부피가 음수가 나오는 경우? ---보기--- 보기끼리 글자크기 다른 경우 1~5번 중 특정 선지가 너무 없거나 너무 많은 경우 순서정렬 안된 경우
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