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인공지능수학 과제는 여기에 올리시면 됩니다. 글 수정 기능을 이용해서 과제를 여기에 누적하여 올려주세요. 수정 비번 : 306026798 (꼭 기억하세요.) # 7월 8일 수업 과제 # [생활기록부작성용과제] 1) 인공지능수학 수업 수강신청 동기는 ? (약 100자) 답 :어떤 수학적 개념이 인공지능과 관련이 있는걸까, 감이 잘 잡히지 않았었다. 특히 '행렬'이라는 수학적 개념이 중요하다고 들었다. 그래서 인공지능수학이라는 과목을 이수해 인공지능에 필요한 수학적 지식을 기르고 나의 재능을 살려 이를 토대로 인공지능의 원리를 알아내어 사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래머가 되고자 하는 나의 꿈을 이루기 위함이였다. 2) 지금까지의 수업에서 배운 것 중 가장 흥미롭고 기억에 남는 것은? (그냥 체험해 본 정도가 아닌, 본인이 정말로 이해한 것을 골라 쓸 것. 가급적 코딩보다는 수학에 관한 것. 뜬구름x. 수학적으로 구체적으로 작성.) ( 약 200~400자) 예시 : 행렬의 곱셈이 가장 흥미로웠다. 행렬이 이미지 처리에 중요하다고 배워서 행렬 연산을 집중하여 수업을 들었는데 덧셈, 뺄셈과 전혀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신기했다. 왜 그렇게 정의하는지 정확히 알 순 없지만 내 생각에는 크기가 다른 행렬끼리 곱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인 것 같다. 그리고 퍼셉트론에서 입력값과 가중치의 곱을 산출할 때 행렬곱셈이 쓰인다는 것을 알고 행렬 곱셈의 유용성을 알 수 있었다. 답 : 행렬과 관련된 내용이 가장 흥미로웠다. image classification이라는 기술을 고등학교 1,2학년에 사용했었다. 하지만 이에 적용되는 기본적인 원리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였다. 이에 알지는 못하지만 익히 들어왔던 '행렬'이라는 수학적 개념이 사용된다고 하자, 행렬에 대해 궁금했었었다. 그렇게 행렬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배우고 났을때는, 솔직히 어디에 쓰일지 잘 모르겠었다. 하지만, 퍼셉트론에서 입력값과 가중치에 대한 행렬이 서로 곱해져 평탄화 작업을 거쳐 활성화 함수를 구하는 것을 보고, 행렬의 곱을 구하는 방법과 행렬이 이렇게 쓰일 수 있다는 것을 깨닫고, 행렬이 중요한 이유를 알 수 있었다. 또한, 텍스트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유사도에 대한 개념도 흥미로웠다. 그중에서도 벡터를 사용해 구해내는 코사인 유사도에 대한 개념이 가장 흥미로워 현재 이를 적용시켜 입력된 문장 속 욕설이 포함되어있는지 판별해주는 인공지능을 제작해보는 중이다. [자율과제-생기부O] 4강. 16쪽. 문제6 풀이과정을 쓰시오. 타이핑쳐도 되고, 사진을 찍어서 구글 드라이브에 올린 뒤 링크를 아래에 붙여넣어도 됩니다. (액세스 허용 : 링크가 있는 모든 사용자에게 허용) 답 : https://drive.google.com/file/d/1KVqE6PvNff3kkIH6f5os8rQaIxQwNMnd/view?usp=drive_link # 7월 15일 수업 과제 # https://drive.google.com/file/d/1OYw7TVwg968y3LQZGYdpCGEiq9a60is5/view?usp=drive_link # 7월 22일 수업 과제 # https://drive.google.com/file/d/1ZiDmAagER1TIqEisfyHJkq_4HGS6t7oL/view?usp=sharing # 7월 29일 수업 과제 #
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