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인공지능수학 과제는 여기에 올리시면 됩니다. 글 수정 기능을 이용해서 과제를 여기에 누적하여 올려주세요. 수정 비번 : 207104066 (꼭 기억하세요.) # 7월 8일 수업 과제 # [생활기록부작성용과제] 1) 인공지능수학 수업 수강신청 동기는 ? (약 100자) 답 : 1학년 때 한 강의를 들으면서 의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수학 활용에 관해 알게되었다. 사람의 사고로 생각하기 어려운 부분을 데이터 분석이나 인공지능을 통해 해결할 수 있고, 이에 수학의 행렬이 이용된다고 해서 행렬에 관해 알아보았었다. 이후 인공지능의 원리에 사용되는 수학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어졌고, 강의 계획서에 행렬, 최적화, 경사하강법 등 관심을 가졌던 분야에 대해 배울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해 인공지능수학 수업을 신청했다. 2) 지금까지의 수업에서 배운 것 중 가장 흥미롭고 기억에 남는 것은? (그냥 체험해 본 정도가 아닌, 본인이 정말로 이해한 것을 골라 쓸 것. 가급적 코딩보다는 수학에 관한 것. 뜬구름x. 수학적으로 구체적으로 작성.) ( 약 200~400자) 예시 : 행렬의 곱셈이 가장 흥미로웠다. 행렬이 이미지 처리에 중요하다고 배워서 행렬 연산을 집중하여 수업을 들었는데 덧셈, 뺄셈과 전혀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신기했다. 왜 그렇게 정의하는지 정확히 알 순 없지만 내 생각에는 크기가 다른 행렬끼리 곱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인 것 같다. 그리고 퍼셉트론에서 입력값과 가중치의 곱을 산출할 때 행렬곱셈이 쓰인다는 것을 알고 행렬 곱셈의 유용성을 알 수 있었다. 답 : 퍼셉트론을 통한 인공 신경망이 가장 흥미로웠다. 평소 인공지능의 핵심이라 하는 인공신경망이 정확히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지 궁금했다. 퍼셉트론의 출력을 조절하는 활성화함수가 생각보다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작동하며 가중치를 통해 중요도를 조절하는 것이 임계값을 통한 실제 신경의 작동방식과 유사한 점이 신기했다. 이 개념을 통해 왜 인공지능의 코딩 자체는 유사한지, 왜 사람의 지능, 사고와 유사한 기능을 할 수 있는지와 같은 의문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여러 자료의 학습을 통해 적절한 가중치를 설정하는 과정과 한 퍼셉트론이 매우 많은 퍼셉트론과 그 층에 연결되어있다는 점에서 우리가 학습하고 사고하는 과정과 매우 유사하다고 느꼈다. 따라서 인간이 무수한 가능성을 가진 것처럼 인공지능 또한 그러한 가능성을 가질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자율과제-생기부O] 4강. 16쪽. 문제6 풀이과정을 쓰시오. 타이핑쳐도 되고, 사진을 찍어서 구글 드라이브에 올린 뒤 링크를 아래에 붙여넣어도 됩니다. (액세스 허용 : 링크가 있는 모든 사용자에게 허용) 답 : https://drive.google.com/file/d/1793sIuFRu5ulki-B-ReMyLms8ctCd4vd/view?usp=drivesdk # 7월 15일 수업 과제 # 내용 작성보다는 탐구 과정 및 방법 정리 위주로 했습니다... 지금 내용은 조금 부족할 수 있지만, 다음주까지 탐구를 완료하도록 하겠습니다. https://drive.google.com/file/d/1fwRrbaaHv2uZVWVUsGgYZVfIMW7taQYY/view?usp=sharing # 7월 22일 수업 과제 # https://drive.google.com/file/d/1SxLlfyf26STo6yWIHdjgWmbSYacFoE8g/view?usp=sharing 아직 완성하진 못했지만 우선 제출합니다. 9시 30분에 위 내시경이 있어서 갔다와서 완성해야할 것 같아요.. 계속 제출이 늦어져서 죄송합니다.. 실습코드제작까지는 다 했고, 결과만 정리하면 돼요! 아마 오후 2시까지는 완성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정말 죄송합니다.. 완성본입니다! 너무 늦게 제출해서 죄송합니다ㅜㅜ 밑에 실습코드링크도 달아놓을게요! https://drive.google.com/file/d/16wqY6Thp1Agii6u4-E7ugRTdyjeO7jyS/view?usp=sharing ⦁경사하강법 예시 https://colab.research.google.com/drive/1ESoGxe0KzHl7e3AHr1CfIvYRaCBnVo69?usp=sharing ⦁회귀/분류(확률적 경사하강법과 랜덤포레스트) https://colab.research.google.com/drive/1Cd_gI-ty8a18Mc9QAKo0F9MA7liJqcVP?usp=sharing ⦁경향성 정도(확률적 경사하강법과 랜덤 포레스트) https://colab.research.google.com/drive/1WaFaD6v3PaD—PmG8h8U3NJGzR3Skb4T?usp=sharing ⦁미국 주택 데이터 https://drive.google.com/file/d/14SfM8VzP-0T2ziEsiFiT0A9xeMXOmxmf/view?usp=sharing # 7월 29일 수업 과제 #
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