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인공지능수학 과제는 여기에 올리시면 됩니다. 글 수정 기능을 이용해서 과제를 여기에 누적하여 올려주세요. 수정 비번 : 206191674 (꼭 기억하세요.) # 7월 8일 수업 과제 # [생활기록부작성용과제] 1) 인공지능수학 수업 수강신청 동기는 ? (약 100자) 답 :평소 인공지능에 대해서 관심이 많았고 수학에도 관심이 많았기에 인공지능에 사용되는 수학에 대해서 찾아보게 되었는데 그때 행렬이라는 개념을 처음접하게 되었고 행렬에 대해서 더깊이 알아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현재교육과정에서 행렬을 배우는 과목은 인공지능수학이 유일하다는것을 알게되었기 때문입니다. 2) 지금까지의 수업에서 배운 것 중 가장 흥미롭고 기억에 남는 것은? (그냥 체험해 본 정도가 아닌, 본인이 정말로 이해한 것을 골라 쓸 것. 가급적 코딩보다는 수학에 관한 것. 뜬구름x. 수학적으로 구체적으로 작성.) ( 약 200~400자) 예시 : 행렬의 곱셈이 가장 흥미로웠다. 행렬이 이미지 처리에 중요하다고 배워서 행렬 연산을 집중하여 수업을 들었는데 덧셈, 뺄셈과 전혀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신기했다. 왜 그렇게 정의하는지 정확히 알 순 없지만 내 생각에는 크기가 다른 행렬끼리 곱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인 것 같다. 그리고 퍼셉트론에서 입력값과 가중치의 곱을 산출할 때 행렬곱셈이 쓰인다는 것을 알고 행렬 곱셈의 유용성을 알 수 있었다. 답 :행렬의 덧셈과 뺄셈이 가장 흥미로웠다. 행렬의 덧셈과 뺄셈은 같은 크기의 행렬끼리만 가능하고, 같은 위치의 성분끼리 더하거나 빼는 방식으로 계산한다는 점이 특이했다. 예를 들어 2 x 2 행렬끼리 더하려면 (1, 1) 성분끼리, (1, 2) 성분끼리, (2, 1) 성분끼리, (2, 2) 성분끼리 더해야 한다. 2 x 3 행렬과 3 x 2 행렬처럼 크기가 다른 행렬끼리는 덧셈, 뺄셈을 할 수 없다. 행렬의 덧셈과 뺄셈은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할 때 쓰일 수 있을 것이다. 이미지의 픽셀 정보를 행렬로 나타낸 다음, 밝기를 높이려면 모든 성분에 특정 값을 더하고, 밝기를 낮추려면 모든 성분에서 특정 값을 빼면 되기 때문이다. [자율과제-생기부O] 4강. 16쪽. 문제6 풀이과정을 쓰시오. 타이핑쳐도 되고, 사진을 찍어서 구글 드라이브에 올린 뒤 링크를 아래에 붙여넣어도 됩니다. (액세스 허용 : 링크가 있는 모든 사용자에게 허용) 답 :1)𝐿(𝑎) = (5 - 3𝑎)^2 + (8 - 6𝑎)^2 + (11 - 9𝑎)^2 + (3 - 3𝑎)^2 + (4 - 6𝑎)^2 + (5 - 9𝑎)^2 이를 전개하고 정리하면, 𝐿(𝑎) = 324𝑎^2 - 504𝑎 + 190 따라서 손실 함수는 𝐿(𝑎) = 324𝑎^2 - 504𝑎 + 190 입니다. 2)𝑓₁(𝑥) = 𝑥 에 대해서는 𝑎 = 1 이므로, 𝐿₁(1) = 324 - 504 + 190 = 10 𝑓₂(𝑥) = 2/3 𝑥 에 대해서는 𝑎 = 2/3 이므로, 𝐿₂(2/3) = (324 * 4/9) - (504 * 2/3) + 190 = 22 𝑓₃(𝑥) = 1/3 𝑥 에 대해서는 𝑎 = 1/3 이므로, 𝐿₃(1/3) = (324 * 1/9) - (504 * 1/3) + 190 = 58 손실 함수 값이 가장 작은 추세선이 데이터를 가장 잘 예측하는 추세선입니다. 따라서 𝑓₁(𝑥) = 𝑥 가 주어진 자료의 예측에 가장 적합한 추세선입니다. # 7월 15일 수업 과제 # https://drive.google.com/file/d/1VTJgfrKvt7Q2gFg0oZJGgnxwYAgSL_tQ/view?usp=drive_link # 7월 22일 수업 과제 # https://drive.google.com/file/d/1_viwx9P5-6dZYsi_O5CgsmNXJezlVpu8/view?usp=drivesdk # 7월 29일 수업 과제 #
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