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사진은 차례대로 2017년 배추 도매가와 이를 로그값으로 좌표평면에 나타낸 것, 등락율의 변화 그래프이다. 시각의 편이를 위해 로그값에 10을 곱하였으나 이는 나의 오류였다 지난번 나는 로그로 물가를 이해할 때 변화가 왜곡될 수 있다는 취지의 설명을 하였는데 여기서는 사실 도매가 그래프와 같은 형태를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서 10을 곱한다는 사실을 다시 상기한다면 함수값들의 간격이 1/10으로 줄어든다. 이것이 실질적으로 등락율을 보이기 위한 목적의 로그에 취지에 맞기 때문에 로그로 나타내는 것은 여전히 위험하다. 더 나아가 등락율 그래프를 보자 이번엔 완전히 도매가와 상이한 결과를 보인다. 이 그래프를 자칫 있는 그대로 물가라고 이해한다면 11월 중순과 하순 사이에는 가격이 하락한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또 10월 하순과 11월 상순 사이의 가격 상승보다 11월 상순과 11월 중순 사이의 가격 상승이 절대적인 수치가 더 큼에도 등락율 그래프에서는 기울기가 완만해진다. https://drive.google.com/file/d/1vbxqJBjt0FBW5Uis6byuqFjJ3ngtWAiN/view?usp=drivesdk https://drive.google.com/file/d/1RoiHWOJ_atwHlHhFj2kCYHyjnJhQhrR2/view?usp=drivesdk https://drive.google.com/file/d/1ExnEPU9pHZXA00YSxYxCleETZ6KmKN6m/view?usp=drivesdk
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