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함수에 관련된 내용들을 찾아보다가 심전도 데이터를 삼각함수로 분석하여 심박동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질병진단에 활용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심전도는 전기 신호를 측정하여 심장의 수축과 이완을 나타내는 전기신호를 기록한다. 심전도의 그래프를 보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래서 사인함수와 코사인함수로 나타낼수 있다. y=2sin4x+3cos2x+sin5x+Cos3x의 그래프를 그리면 심전 도의 그래프와 비슷하다는것을 알게되었고 그래프를 그리는 어플을 통하여 그려보았다. 그리고 정상적인 심장박동은 일정한 주기를 가지는데 비정상적인 심장박동은 주기적 패턴이 불규칙해서 주기 차이로 명 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심전도의 그래프에서 P파, QRS파, T파가 있는데 각각 심방 수축, 심실 수축, 심실이완을 나타내며 이 주파수들을 이용해서 그래프를 해석해 볼 수 있었다. 이 탐구 를 통해 삼각함수를 이용해 심장박동주기를 분석하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었다. 또 평소에 드라마나 영화에서 심전도 그래프를 한 번씩 보면 어떻게 의사들이 질병을 알 수 있는지 궁금했었는데 이번 탐구에서 정상 심전도와 비정상 심전도 그래프의 차이를 비교하면서 평소에 궁금했던 점을 알 수 있어서 보람있었다. 마지막으로 심전도가 일반인들도 흔히 사용하고 심장질환과 예방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심전도 그래프 분석 탐구를 하면서 삼각함수가 우리 생명에도 많은 영향을 준다는걸 다시 한 번 깨닫게 해주었다 https://drive.google.com/file/d/1i6p7woOcjVzhmpLktx5h_EMeA0UOFGJL/view?usp=drivesdk
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