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까지 누적 수행평가 성적 확인 1. 영역1. 포트폴리오 포트폴리오1 : 25/25점 포트폴리오2 : 25/25점 포트폴리오3 : 23/25점 포트폴리오4 : 25/25점 2. 영역2. 발표 100점
# 8월 21일 수업 과제 제출 1. -> A = (1, 0, 1, 0, 0, 1, 0, 0, 0, 1, 0) -> B = (0, 1, 0, 1, 1, 0, 0, 1, 1, 0, 1) https://drive.google.com/file/d/1tRTn5YMdZs97ftfAJGzLsJ02ohJwqWHZ/view?usp=sharing 2. 3. # 8월 28일 수업 과제 제출 1. https://drive.google.com/file/d/1fEOXeLuNTUYpHN_sOGw0zpQLXMTLttBO/view?usp=sharing 2. https://drive.google.com/file/d/1q-KxToDzg3GeRjTP01oc3Hs_K_bLBb2p/view?usp=sharing 3. Q : 텍스트데이터 처리 결과 왜 별로 중요하지 않아 보이는 단어의 중요도가 높게 나오는 일이 발생할까? 학생의 채팅 대답 : 문맥에서의 주요 정보가 아니라 단어 빈도만 고려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중요도가 떨어지는 단어임에도 해당 문서에서 단어의 개수가 많기 때문에 중요한 단어로 분류가 된다. 모든 문서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는 가중치를 다르게 주는 방법을 고민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 9월 4일 수업 과제 제출 1. https://drive.google.com/file/d/1Z8Nv7o6JsSlujTYwl9v05lyP6WVBiDJH/view?usp=drive_link 2. https://drive.google.com/file/d/1Onr6Y7DbQJZ6XY4ULKNpmB8QSX3pBG--/view?usp=drive_link 3. https://drive.google.com/file/d/11J-pbdNcWQ6P2AsNiMq1YP8nUntBHmDy/view?usp=sharing # 9월 11일 수업 과제 제출 1. https://drive.google.com/file/d/1VIA10HqzAOThGetUNAX5wES2qKTBWd7w/view?usp=sharing 2. https://drive.google.com/file/d/1B8J-_UMwYtcZBybs40GKC0xXnBwzZFLz/view?usp=sharing 3. # 10월 2일 수업 과제 제출 1. https://drive.google.com/file/d/1jLY76K6UTy2hnOW9iI1L4NdCRWBVfxYx/view?usp=sharing 2. https://drive.google.com/file/d/11RF_yHJeTMH9hX5PwwT6XaywURtYLRPD/view?usp=sharing 3. https://drive.google.com/file/d/1RA9EnYMm3LXi_CR0e-xgGmeznsf-8Uwi/view?usp=sharing https://drive.google.com/file/d/1T1D9ajQtUl5lv0_dEz8t0e95f0lA27SK/view?usp=sharing # 10월 23일 수업 과제 제출 1. 2. 3. # 11월 6일 수업 과제 제출 1. 코랩) https://colab.research.google.com/drive/13Z7cmTM61ZkWeWq_MuaMMBidXWHeUV6O?usp=sharing csv) https://drive.google.com/file/d/1EIQ6RMtoR5cl4LRu6Lurj_BqO7ixhChN/view?usp=sharing 오차 계산) https://drive.google.com/file/d/1yAIGq4hB7trWAWyFhOZcYambX7MBQhUt/view?usp=sharing 2. 3. # 11월 13일 수업 과제 제출 1.https://drive.google.com/file/d/12BWI5DuRdt70D-DWgkm4Yq2Wbn1kWJw2/view?usp=sharing 2.https://drive.google.com/file/d/1tnABhpUw6j9U_JO0YgbJIPT_9HS6NE4S/view?usp=sharing 3. # 11월 20일 수업 과제 제출 1. https://drive.google.com/file/d/1QwYtPoLhVhavRoD37gSDCEHfLvB4gFW_/view?usp=sharing ㄴ> 2차 함수의 손실함수에서 학습률을 높이면 경사하강법 과정이 어떻게 될까? 에 대해서 스스로 질문하고 답을 예상해 보았습니다. : 학습률을 높여서 경사하강법을 두 번 시행한 과정을 시행해 1번 링크로 첨부했는데, 초기값은 다르게 설정했지만 보다 경사를 급격히 변화해 가며 큰 폭으로 이동해 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보다 좀 더 학습률을 아주 크게 잡아서 경사하강법을 시행한다면, 경사 방향에도 무관하게 큰 폭으로 이동하면서 최적화에서 수렴하는 값을 찾기 힘들 것으로 예상하였습니다. 따라서 학습률이 아주 작아 시간이 오래 걸리지도 않고, 학습률이 매우 커 알고리즘이 수렴되지도 않는 적정의 학습률을 구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울 수 있었습니다. 2. 3. # 11월 27일 수업 과제 제출 1. https://colab.research.google.com/drive/1Z_9WoJbAK-Cz6hhl4zYp3Dp1q13_12_4?usp=drive_link #코드 2. https://www.hancomdocs.com/open?fileId=DOaGDMvPjTcXiEyEnMl7iHmLh5AVwWsU (https://drive.google.com/file/d/1obIBnCYUHYXZtqZ1EQbZZft8PI8AcLr1/view?usp=sharing) # 잘 안 열려서 위에 다른 링크로 첨부합니다
전송